낙찰허가결정

사건번호:

94마1465, 1466

선고일자:

19940912

선고:

법원명:

대법원

법원종류코드:

400201

사건종류명:

민사

사건종류코드:

400101

판결유형:

결정

판시사항

경매부동산의 명의신탁자가 부동산경매(입찰)개시결정·경락(낙찰)허가결정에 대하여 불복할 수 있는 이해관계인인지 여부

판결요지

집행법원이 한 부동산경매(입찰)개시결정·경락(낙찰)허가결정에 대한 이의신청은 원칙적으로 그 경매절차의 이해관계인만이 할 수 있는 것이고, 경매부동산의 명의신탁자라 하더라도 확정판결에 기하여 소유권회복의 등기를 갖추고 이를 집행법원에 권리신고를 하기 전에는 이해관계인이라고 볼 수 없다.

참조조문

민사소송법 제641조

참조판례

대법원 1986.9.24. 자 86마608 결정(공1987,221) , 1988.3.24. 자 87마1198 결정(공1988,683) , 1991.4.18. 자 91마141 결정(공1991,1591)

판례내용

【재항고인】 【원심결정】 서울민사지방법원 1994.6.24. 자 94라512,513 결정 【주 문】 재항고인 1의 이 사건 이의신청에 대한 원심결정을 파기하고, 제1심결정을 취소한다. 재항고인 1의 이 사건 이의신청을 각하한다. 이 사건 낙찰허가결정에 대한 각 재항고를 기각한다. 【이 유】 1. 이 사건 이의신청에 대한 재항고인 1의 재항고이유를 판단하기에 앞서 직권으로 이의신청의 적법여부에 관하여 판단한다. 기록에 의하면, 재항고인 1은 이 사건 임의경매(입찰)개시결정에 대하여 이 사건 입찰부동산은 자신이 매수하여 채무자인 신청외 1에게 등기명의를 신탁하여 두었던 것인데 그가 임의로 채권자인 신청외 2 등에게 근저당권설정등기를 하여 이에 기하여 이 사건 경매절차가 개시되었으므로 위 신청외 1을 상대로 명의신탁해지를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소송을 제기하여 제1심에서 승소판결을 받았고 지금은 항소심에 계속중이므로 위 판결의 확정시까지 이 사건 입찰절차는 정지되어야 한다는 이유로 이 사건 임의경매(입찰)개시결정에 대한 이의신청을 제기하였고, 이에 대하여 경매법원은 위와 같은 사유만으로는 이 사건 임의경매개시결정을 취소하거나 정지할 정당한 이유가 되지 못한다고 하여 위 이의신청을 기각하였으며, 위 재항고인이 위 기각결정에 대하여 항고를 하자 원심법원 역시 같은 이유로 항고를 기각하였다. 그러나, 집행법원이 한 부동산경매(입찰)개시결정에 대한 이의신청은 원칙적으로 그 경매절차의 이해관계인만이 할 수 있는 것이고, 경매부동산의 명의신탁자라 하더라도 확정판결에 기하여 소유권회복의 등기를 갖추고 이를 집행법원에 권리신고를 하기 전에는 이해관계인이라고 볼 수 없다 할 것인바, 이 사건에 있어 위 재항고인 1의 주장에 의하더라도 그는 아직 이 사건 경매절차의 적법한 이해관계인이라고 볼 수 없어 그가 제기한 이 사건 이의신청은 부적법하여 각하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제1심법원 및 원심법원은 모두 이를 적법한것으로 보고 본안에 들어가 판단을 하였으니 제1심결정 및 원심결정에는 경매절차에 있어서 이해관계인에 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아니할 수 없다. 2. 경락허가결정에 대한 각 재항고이유를 판단한다. 집행법원이 한 부동산낙찰허가결정에 대한 이의신청은 원칙적으로 그 경매절차의 이해관계인만이 할 수 있는 것이고, 경매부동산의 명의신탁자라 하더라도 확정판결에 기하여 소유권회복의 등기를 갖추고 이를 집행법원에 권리신고를 하기 전에는 이해관계인이라고 볼 수 없다(당원 1991.4.18. 자 91마141 결정 참조) 할 것인바, 원심이 이와 같은 견해에서 재항고인 1의 이 사건 항고를 부적법하다고 판단하였음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위법이있다고 할 수 없다. 논지는 이유 없다. 또한 경매부동산이 명의신탁된 부동산임을 이유로 명의신탁자가 명의수탁자를 상대로 제기한 소유권이전등기소송이 항소심에 계속중이고 그 후 위 판결이 확정되더라도 낙찰인은 그가 취득할 소유권에는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할 것이니, 원심이 이와 같은 견해에서 재항고인 차동열의 이 사건 항고를 배척하였음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. 논지는 이유 없다. 3. 그러므로 이 사건 경매개시결정에 대한 이의신청에 대하여는 재항고인 1의 재항고이유에 대하여 판단할 필요도 없이 원심결정을 파기하고, 제1심결정을 취소하며, 이에 대하여는 원심이 확정한 사실에 의하여 재판하기에 충분하므로 당원이 종국판결을 하기로 하는바, 재항고인 1의 이 사건 이의신청은 부적법한 것임이 명백하므로 이를 각하하기로 하고, 이 사건 낙찰허가결정에 대한 각 재항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. 대법관 박만호(재판장) 박준서 김형선(주심) 이용훈

유사한 콘텐츠

민사판례

경매로 낙찰받은 부동산, 명의신탁 약정이 있었다면 누구 소유일까?

돈을 낸 사람과 다른 사람 이름으로 경매 부동산을 낙찰받았더라도, 소유자(경매 채무자)가 그 사실을 알았다는 이유만으로 낙찰받은 사람의 소유권이 무효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.

#경매#명의신탁#소유권#부동산실명법

민사판례

종중 명의신탁 부동산, 경매 막을 수 있을까?

종중이 다른 사람 명의로 등기해 둔 부동산(명의신탁)에 대해 압류 등 강제집행이 시작될 경우, 종중은 "내 땅이다!"라고 주장하며 이의를 제기할 수 없다.

#종중#명의신탁#부동산#강제집행

민사판례

경매로 낙찰받은 부동산, 진짜 주인은 누구? 명의신탁과 그 함정

타인의 돈으로 자기 이름으로 경매 부동산을 낙찰받은 경우 명의신탁이 성립하고, 이는 불법입니다. 돈을 댄 사람이 명의를 빌려준 사람에게 부동산이나 처분대금 반환을 요구할 수 없습니다.

#경매#명의신탁#처분대금반환청구#부동산실명법

민사판례

경매 부동산, 돈 낸 사람 vs. 명의 받은 사람, 진짜 주인은 누구?

경매에서 낙찰받을 때 다른 사람 이름으로 낙찰받기로 약속하고 실제로 그렇게 했다면, 돈을 낸 사람이 따로 있더라도 등기상 소유자 이름으로 된 사람이 진짜 소유자로 인정된다는 판결.

#경매#명의신탁#소유권#낙찰자

민사판례

경매 부동산 명의신탁, 누구 소유일까요? 부당이득 반환은 어떻게?

다른 사람 돈으로 경매 부동산을 사면서 자기 이름으로 등기하면 명의신탁이고, 부동산실명법에 따라 명의를 빌려준 사람이 부동산 소유권을 갖게 되므로, 돈을 낸 사람에게 부동산 자체를 돌려줘야 한다.

#경매#명의신탁#부동산실명법#부당이득

민사판례

경매 부동산, 내 돈으로 남의 이름으로 샀다면? 명의신탁!

돈을 낸 사람과 등기 명의자가 다른 경우, 경매로 부동산을 사더라도 명의신탁이 성립하고, 부동산실명법에 따라 무효가 됩니다.

#경매#부동산#명의신탁#무효